본문 바로가기
여행

비음산 불곡사 - 창원 비음산불곡사 동경, 석조비와 자나블 보물(제436호)

by globetrot 2025. 3. 18.
반응형

비음산 불곡사

 

 

들어가다 오늘은 집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창원 동쪽의 비음산 밑단에 있는 불곡사에 들러 신년 각오를 굳히고 불곡사는 가음정동 근처에 있어 많은 시민들이 운동에 들러 가는 곳이다. 절집에는 각각의 절실한 소원을 담은 해 등이 비로전 내부를 밝히고 비로종에 3배를 드리거나 백 8배를 드리는 신도들이 보였다. 비음산불곡사사적

 

통일신라시대 진경대사가 봉림사와 불곡사를 창건해 923년 봉림사에서 923년 입적했다. 1940년에 비로자나블을 발견해 비로전을 지어 중건해 오늘이 되어, 불곡사에는 보물 제436호 비로종에는 비로자나블 석조상이 있다. 비음산불곡사 안내 간판 정리

비음산불곡사 안내문 석조물 여기를 지나면 한 주문이 나온다.

 

비음선실 여기에서는 선수행을 하는 스님이 거주하는 공간이다 작은 석탑이 울창한 소나무와 한옥이 조화를 이룬다

 

세무르 기하학적 건물 배치로 건물 중간 통로를 지나면, 우로전에 오르게 하는 건물을 배치한 설계가 우수하다. 마음이 힘들고 피곤했을 때 세물에 앉아서 나를 다독하게 하는 수련을 해야 한다.

 

비로전 빌로사와 부처를 모시는 법정에서 나는 빌로사와 부처를 좋아합니다. 제대로 손을 모으는 모습과 부드러운 아름다운 미소가 모두에게 새로운 희망과 기쁨을 준다.

 

석조 비와 저너블(보물 제436호) 비로자나블은 전 세계에 존재하는 불법 진리를 밝은 빛의 형상화한 부처로, 스인은 지권인(지권인)으로, 당신과 나의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닌 하나임을 의미한다. 부처님의 온화하고 자비로운 미소로 마음의 평화와 위로를 받는다.

 

목록 부전 지장 보살을 주불로 봉안하고, 지장전이라고도 한다. 지장보살은 불교의 구원의 이상을 상징하는 자비로운 보살로 천상에서 지옥에 이르는 중생을 성불하고 명부전은 조상의 천도를 위한 장소이다.

 

범정루 불곡사의 주요 이벤트 때는 타종을 한다

 

관음전 관음전은 관세음보살님을 모시는 법정으로 관세음보살님은 아미타불을 받고 중생들에게 두려움 없는 마음을 베풀어 주시는 분이다.

 

칠성각 칠성각은 한국 대대로 내려오는 산신을 모시는 곳으로 어른이 칠성각으로 기도를 바치러 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무술탑 비음산불곡사에서 입적한 무도탑과 일대기를 담은 비석이 모셔져 있는 곳이다.

 

마무리 오늘은 창원의 중심지에 있는 비음산불곡사 비로전에서 비로자나불님의 온화한 미소는 우리 모두에게 갈등과 갈등이 없는 서로 화합하고 커뮤니케이션하며 살아간다는 가르침이 아닐까 생각한다. 2024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반응형